[시장 동향]공인인증서 폐지, 마이데이터 사업 위한 간편인증 필요성

조회수 2021

마이데이터 사업을 위한 간편인증

마이데이터 사업 적극 추진하는 과정에서 신원확인이 중요한 절차 중에 하나에 있어 공인인증서가 다시 활용하게 되었다. 강제 사용이 논란이 있지만 빠른 실행 방안으로 채택이 되었다.

공인인증서 발행하는 기관이 공인인증기관이다. 인증기관은 CA (Certificate Authority)이며 공인 및 사설 기관으로 나눠져 있다. 국내 공인인증 기관은 제삼자가 발행하는 증명서로 본인 여부를 증명하며, 전자 상거래 따위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폭넓게 운용됐었다. 



  • 공인인증서 폐지 이유


사설 인증 기관은 기업 내 또는 특정 거래처와 같이 어느 정도 제한된 범위에서 기업 정책을 바탕으로 운용했으나 작년 12월 공인인증서 폐지 및 사설인증 시장 개방하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인증서 암호화 프로토콜이 글로벌 표준화되는 규격이다. 공인인증기관 아닌 사설인증기관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 시장 더 활성화 되기 위해 제한을 풀었다.

언택트 시대 이런 온라인 신원 확인할 수 있는 Digital ID시장도 글로벌 시장에서 더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개인 신원뿐만 아니라 기기 신원확인하는 IoT인증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모든 사람 신분증이 필요한 만큼 디지털 시대의 디지털 아이디도 필요하다. 현재 70억 넘은 IoT기기도 기기 신원인증이 필요하다.


  • 차세대 간편인증 필요성

이데아텍의 인증사업은 생체인증으로 자체 개발된 간편인증, PKI기술 기반으로 자체 개발된 WebPIN인증부터 그리고 CA인증기관의 글로벌 표준화 SSL인증서, Digital ID 신원확인, 전자서명, 프로그램 서명하는 코드사인, IoT인증서 및 인증서 토탈 관리 플랫폼 사업까지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이데아텍은 간편인증에 있어 생체인증과 같은 디지털 시대 최신 기술을 선포하여 국내 보안 업계 글로벌 수준 넘어서 더 발전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공인인증서폐지 #간편인증 #생체인증 #FIDO인증 #SSL인증 #웹핀인증 #loT인증 #이데아텍


견적문의


이데아텍(주) | 대표이사 : 이정수, 어윤호 | 사업등록번호 : 458-81-00362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1-서울강남-02553호

TEL : 02-6952-9160 | EMAIL : contact@ideatec.co.kr | ADDRESS :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6길 21-6 (서초동, 이데아텍 사옥)

COPYRIGHT IDEATEC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