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MyData)는 개인 정보 활용과 개인 정보 보호라는 측면을 모두 고려한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8월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그렇다면 해외에서의 마이데이터 사업은 어떠할까?
미국의 스마트 공시 제도(Smart disclosure)
먼저 미국의 경우 10년 전부터 스마트 공시 제도(Smart disclosure)를 도입했다.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로 의료 및 에너지, 교육 등의 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정책을 시행해왔다. 스마트 공시는 소비자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자가 사용하기 유리한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주정부별로 관리 권한이 있는 개인 데이터의 경우 마이데이터 적용이 어려워 연방정부에서 관리하는 개인 데이터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영국의 마이데이터(Midata)
영국의 마이데이터(Midata) 또한 미국과 마찬가지로 2011년부터 시행돼 왔다. 시행 초반에는 자발적인 마이데이터 사업 참여를 기대하였으나 성과가 낮아 마이데이터 의무화 제도를 실행하였다. 에너지와 통신, 금융 등의 분야에서 자주 적용되고 있으며, PSD2(지급 결제 서비스 지침 개정안) 개정과 오픈뱅킹 시행으로 마이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프랑스의 마이데이터
프랑스의 마이데이터는 정부의 정책 및 의무화 제도가 없으며 민간 연합체 주도로 마이데이터를 추진하고 있다. 파일럿 프로젝트(Rainbow Button, Mes INFOS 등)를 통해 국민들이 직접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방식을 사용 중이다.
일본의 마이데이터
마지막으로 일본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익명가공정보를 제공 가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데이터 산업과 비슷한 전자결제 등 대행업을 도입하였고 금융사가 대행업자에게 오픈 API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MyData)는 개인 정보 활용과 개인 정보 보호라는 측면을 모두 고려한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8월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그렇다면 해외에서의 마이데이터 사업은 어떠할까?
먼저 미국의 경우 10년 전부터 스마트 공시 제도(Smart disclosure)를 도입했다.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로 의료 및 에너지, 교육 등의 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정책을 시행해왔다. 스마트 공시는 소비자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자가 사용하기 유리한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주정부별로 관리 권한이 있는 개인 데이터의 경우 마이데이터 적용이 어려워 연방정부에서 관리하는 개인 데이터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영국의 마이데이터(Midata) 또한 미국과 마찬가지로 2011년부터 시행돼 왔다. 시행 초반에는 자발적인 마이데이터 사업 참여를 기대하였으나 성과가 낮아 마이데이터 의무화 제도를 실행하였다. 에너지와 통신, 금융 등의 분야에서 자주 적용되고 있으며, PSD2(지급 결제 서비스 지침 개정안) 개정과 오픈뱅킹 시행으로 마이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프랑스의 마이데이터는 정부의 정책 및 의무화 제도가 없으며 민간 연합체 주도로 마이데이터를 추진하고 있다. 파일럿 프로젝트(Rainbow Button, Mes INFOS 등)를 통해 국민들이 직접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방식을 사용 중이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익명가공정보를 제공 가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데이터 산업과 비슷한 전자결제 등 대행업을 도입하였고 금융사가 대행업자에게 오픈 API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 #해외마이데이터현황 #mydata산업 #글로벌마이데이터 #해외국가마이데이터사업 #마이데이터비즈니스 #APIGateway #이데아텍